생활정보

스키 잘 넘어지는 요령 완벽정리

사랑스러운 뽀 2017. 1. 7. 01:42

    스키 잘 넘어지는 요령 완벽정리!!




스키 잘 넘어지는 요령 알고 계신가요? 겨울에는 가족이나 친구들과 함께 많은 분들이 스키를 타러 가실텐데요. 스키 타다가 다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뼈가 부러지는 경우가 많은데요. 스키 잘 넘어지는 요령만 알고 있어도 이런 부상을 예방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 모르는 분들이 많더라고요. 그래서 오늘은 스키 잘 넘어지는 요령 완벽정리해서 소개할까 합니다. 그럼 같이 보실까요?


    스키 잘 넘어지는 요령. 




스키 부상의 대부분은 부주의로 인한 안전사고로 이루어져 있는데요. 서로 충돌이나 낙상, 장비에 대한 충분한 사전점검 없이 생기게 되는 골절 사고 등이 빈번합니다. 또한 지도자나 숙련자의 도움없이 혼자서 타다가 발생하는 사고도 일어납니다. 



이러한 사고들은 대부분 조금만 주의를 기울이고 자신의 실력에 맞는 경사도의 슬로프를 선택하면 피해갈 수 있는 부상인데요. 무엇보다 스키로 인한 부상을 예방 할 수 있는 가장 손쉬운 방법은 스키 잘 넘어지는 요령을 숙지하는게 아주 중요합니다.  그럼 스키로 인한 부상이 어떤게 있는지 살펴 보겠습니다. 



전방십자인대 : 전방십자인대 손상은 점프해서 착지를 할 때 자주 발생하는데요. 파열되면 "뚝" 하는 소리와 함께 무릎에 힘이 없어지고, 붓기 시작합니다. 이러한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넘어질때 무릎을 펴지말고 구부린 상태로 두고 손을 뒤로 짚지 않으면 부상을 줄일 수 있습니다. 



어깨탈구 :  스키를 타다가 넘어질 때 팔을 벌리면서 넘어질 때 자주 일어나는 부상인데요.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넘어질 때 가능한 양팔을 몸에 밀착시키는 동작을 하면 어깨탈구되는것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엄지손가락 인대 부상 : 스키를 타다가 넘어질 때 스키 손잡이 때문에 엄지손가락에 부하를 주면서 인대 부상이 일어나게 되는데요.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스키를 탈때 손잡이를 둥굴게 말아쥐어주면 넘어질 때 손잡이로부터 빠르게 손가락을 뺄 수 있어서 엄지손가락 인대 부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 뒤로 미끄러져 넘어질 때 손목, 팔꿈치 관절의 손상이 오고, 반대로 앞으로 미끄러질 경우에는 어깨 관절, 손목 관절 손상이 일어나게 됩니다. 특히, 어깨 힘줄손상, 탈구, 견봉-쇄골 관절 분리 및 쇄골 골절등이 많이 나타난다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앞으로 넘어질 경우에는 무릎을 굽혀 땅에 대고 팔과 손바닥 전체로 땅을 짚어 충격을 흡수해주어야 하고, 뒤로 넘어질 경우에는 엉덩이 부위를 이용해 옆으로 미끄러지듯이 넘어지도록 해야 큰 부상으로부터 예방할 수 있습니다. 


※ 만약 넘어지려고 하는데 넘어지지 않기 위해 버티거나 버둥거리면 더 큰 부상을 초래할 수 있기때문에 넘어질 때에는 버티지말고 넘어져주어야 합니다. 또한 낮은 온도에서는 근육이나 인대가 위축돼 부상 발생 가능성이 커집니다. 

겨울 스포츠를 즐기기 위해서는 스트레칭으로 몸을 충분히 데워주어야 합니다. 그리고 체력이 떨어지면 사고 위험이 더 높아지는데요. 여름에 비해 겨울은 10~15%정도 에너지가 더 소모된다고하니 운동량 조절에도 신경쓰면서 해주셔야한다고합니다. 그럼 다음에도 좋은 정보로 다시 찾아 뵙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