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른 회사로 이직을 하다 보니 글쎄 보건증을 받아와야 한다고 하네요. 그래서 보건소에 가서 3천 원인가? 3 천오백 원인가? 검사비를 납부 후 검사하는데.. 정말 낯설더군요. 아무튼 그래서 별일 없으면 3일 뒤에 인터넷으로 발급받을 수 있거나 아니면 5일 뒤 직접 보건소 방문하여 수령해도 된다 하더라고요. 그런데 요즘엔 바쁘기도 하거니와 인터넷으로 발급받는 게 편하지요. 하지만 저는 집에 프린터가 없어서 회사에 제출 어떻게 해야 하나 싶었는데 다행히도 다운로드하여서 전달하는 방향으로 진행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누구나 쉽고 간편한 보건증 발급 다운로드 1분 해결법으로 안내하겠습니다.

인터넷에서 " 공공 보건 포털 " 검색하시면 " 공공보건포털 e보건소"라고 문구로 되어있는 홈페이지가 확인되는데요. 이곳을 클릭해서 들어가 주세요.

공공보건포털 e보건소 홈페이지 상단에 보시면 " 민원 서비스 " 문구에 마우스를 올려보시면 하단에 여러 메뉴들이 보입니다. 이때 오른쪽에 보시면 " 건강진단 결과서( 구 보건증 )이라는 문구를 클릭합니다.

보건증을 보기 위해서는 본인확인을 해야 하는데요. 하단으로 내려서 위 내용을 모두 동의 및 확인 부분에 체크해 주시고 하단에 " 간편 인증 " 문구를 클릭해 주세요.

그럼 " 민간 인증서 "라고 해서 본인확인 방법이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저의 경우엔 카카오톡으로 인증요청하였습니다. 이 부분은 본인이 편리신곳을 선택하여 본인확인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본인확인이 완료되었다면 중간에 검사받았던 XX보건소를 확인할 수 있고 접수번호, 판정유무, 발급신청 메뉴가 있습니다. 여기서 발급신청 메뉴에서 하단에 " 발급받기 " 문구를 클릭해 주세요.

그러면 증서문서 발급 신청이라는 작은 창이 열리고 주민번호 뒷자리표시를 할 건지 안 할 건지 선택하고 용도에는 저 같은 경우는 회사 제출용이라고 기입한 후 발급신청을 클릭하면 다음 화면 창에서 모두 정상인지 아닌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왼쪽 상단에 보시면 디스크 모양을 클릭해 주세요.

마지막으로 저장하는 작은 창이 열리는데요. 이곳에서 확인하시면 PC로 다운로드되고 다운로드된 파일은 회사에 업무 보시는 분에게 톡으로 전달하면 매우 간단합니다. 그리고 파일을 열게 될 시 암호가 걸려있는데 이 암호는 본인의 생년월일만 입력하시면 풀리게 되어있습니다.
오늘은 보건증 발급 다운로드 1분 해결법으로 매우 간단하게 안내해 드렸습니다. 다음에도 더욱더 알차고 풍성하게 준비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하루도 감사하고 행복한 하루가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Intern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터넷 도구창 설정 1분해결법 (숨기기/보이기) (0) | 2017.08.11 |
---|---|
모모앱플레이어 최적화 1분해결법 (0) | 2017.07.20 |
모모앱플레이어 다운로드 사용법 1분해결 (0) | 2017.07.19 |
KB국민카드 이지홈 생활비 할인카드 혜택 대박정보 (0) | 2017.07.18 |
캐리비안베이 할인 가격 받아보기 (0) | 2017.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