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정보

성과급 기타공제 월급명세서 이해하기

사랑스러운 뽀 2025. 3. 4. 14:28

 

안녕하세요. 저는 공장에서 열심히 일하고있는 근로 노동자입니다. 물론 저와 동일하게 일하시는 분들이 계시거나 또는 사무직 등등 여러 직업이 있을텐데요. 제가 근무 하면서 성과급이라는걸 받아보고 이후에는 월급명세서에서는 성과금 기타공제라하여 공제금액이 많이 나와서 놀라는 경우가 있습니다. 처음 보면 매우매우 인상찌프릴정도로 보고있을텐데요. 이러한 부분을 제 나름대로 잘 풀어서 설명 해보려고 합니다. 

 

 
 

 

 

제가 작년인 2024년08월30일 회사로부터 30만원을 받았습니다. 상여금이라 너무 좋았지요.물론 상여금 받고 뭐 쓸곳도 없었지만 생각지도 않은돈이 들어오니 너무 행복했습니다.

 

 

그런데 월급 명세서 받고 허거덩거덩스 하고 놀랐지 뭐에요. 아니 공제금액이 백만원 넘게 나온적이 없는데 이렇다고?하면서 놀랐는데요. 이게 아닌데 왜이렇게 나오지? 아 뭐지? 하면서 저도 모르게 인상 쓰게 되더라고요.

 

 
 

 

그런데  조금 천천히 생각해보면 정상적인 월급을 받은것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는 8월 30일 30만원의 성과금을 "통장" 으로 입금 받은 상태입니다. (기억해주세요)

 

실제 월급명세서에 표기된 금액은 회사에서 성과급을 지급했다는 회계상 필요하기 때문에 표기를 해둔것입니다.

1 지급내역의 성과급 금액 - 2 공제내역의 기타공제 금액 을 빼버리면 0원. ( 300000 - 300000 = 0 ) 손해X

4 지급 총액 과 5공제총액은 위에 30만원을 빼주시면 원래 받는금액이 됩니다.( 5441254 - 921800 ) 손해X

 

단 3번 보시면 우리가 내야하는 공제들 보이시죠? 이부분이 조금 올랐을겁니다. 즉 회계상 상여금 30만원을 표기하여 총 급여금액이 증가하다보니 "소득세,지방소득세,고용보험" 등등의 금액이 일부 오르게 됩니다.

 

 

 

즉 간략하게 요약 하자면 상여금 받은것은 통장에 그대로 있으며, 월급명세표에 기재된 금액은 서로 금액이 동일하여 또이또이 하므로 실제 근로자의 통장이나 월급에서 제하게 되는것이 아닙니다. 다만 상여금금액이 포함되므로 소득세 등의 공제금액일 조금 상향되어 나오게 되는 점 참고해주세요.

 

 

 

만약 이 글을 보시고 이해가 되셨음에도 불구하고 왠지 뺏기는 기분이 들거나하는건.... 기분탓입니다. ㅋㅋㅋ저도 주변에 설명해주면 이해는 되는데 뭔가 찝찝하고 줫다 빼앗는느낌이든다고 합니다. 그럴때마다 기분탓이니 신경쓰지 말라고하거든요~

 

아무튼 조금이라도 이해가 되고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