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정보

전세사기 예방 3가지 꼭 확인하기

사랑스러운 뽀 2025. 3. 9. 21:48

 

최근 들어 전세사기에 대한 뉴스가 매우 많았습니다. 하지만 뉴스에 나오지 않은 전세사기도 엄청나게 많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지금 당장 내 옆에는 이런 일이 없어서 나도 없을 거라는 생각에 그냥 넘어가고 있진 않으신가요? 만약 그런 분들이 계시거나 또는 앞으로 전세계약을 해야 하는 분들의 입장이라고 한다면 꼭 이 글을 보시고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1. 전세가율 확인하기.

전세가율이란? 지금 전세를 하기 위해 들어가려는 집의 가격(매매 가격)과 전세 가격을 비교한 수치를 말합니다. 즉 전세가격을 매매 가격으로 나누어 계산하면 되기 때문에 간단한데요. 계산해 보셨을 때 전세가율이 80%를 넘겨버린다면 전세사기 위험이 큰 매물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렇다면 집 매매가격은 어디서 확인하나요?라고 궁금증이 생길 텐데요. 보통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또는 KB부동산에서 매매가격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확인 후 계산해 보실 수 있습니다.

 

 
 

 

2. 안전한 매물인지 확인하기.

내가 내 돈을 지킬 수 있지 누군가가 지켜주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확인하고 또 확인해봐야 하는데요. 대표적으로 근저당 설정, 압류나 신탁이 걸려있는지 확인해봐야 하고, 상습적으로 보증금을 돌려주지 않거나 늦게 돌려주는지 등의 내용을 확인해야 합니다. 

 

이러한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서류를 보고 일일이 따져봐야 하는 상황이 있다 보니 번거롭거나 머리 아픈 게 한두 가지가 아닙니다. 그래서 저 같은 경우에는 완벽하진 않지만 그래도 조금이나 신뢰할 수 있는 곳에 조회를 해보는 편인데요. 제가 조회하는 곳은 바로 카카오뱅크에서 확인합니다. 

카카오뱅크를 접속해 보시면 "전체 메뉴"에서 "똑똑한 전세 관리"를 검색하고 들어가고자하는 계약 정보를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 그러면 안전/비교적 안전/주의/주의(경고) 등의 4단계로 알기 쉽게 알려주고 외에도 집주인의 예상 보유 주택수나 상습 채무 불이행, 권리침해  사항 등의 내용까지 알 수 있습니다. 

 

 
 

 

3. 공인중개사 확인하기.

전세사 기의서 가장 중요한 내용이기도 한데요. 바로 공인중개사입니다. 물론 정말 정도의 길을 걷고 중개일을 하시는 분들이 대다수이지만 몇 안 되는 나쁜 공인중개사가 이중계약을 맺거나 월세집을 전셋집으로 둔갑시키는 짓을 하기 때문에 피해가 빈번히 일어나고 있습니다. 

 

그래서 공인중개사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한국공인 중개사협회에 접속하셔서 자격증 보유를 하고 있는지 확인을 하셔야 하며, 부동산 공제증서를 발급받았는지도 확인해야 합니다. 그리고 계약하려는 집이 다른 공인중개사에게도 등록된 매물인지도 확인해보셔야 하고요. 왜냐하면 여러 곳에 등록될수록 안전한 매물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오늘 최대한 이해하기 쉽게 내용을 풀어보려고 했는데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앞으로도 더 알차고 좋은 정보로 찾아뵙도록 할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