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ealth

미세먼지 뇌졸중 우리가 몰랐던 진실


    미세먼지 뇌졸중 우리가 몰랐던 진실은 무엇일까?




미세먼지 뇌졸중에 대해 어떤 연관이 있는지 알고 계신가요? 보통은 아무 연관이 없어 보이지만 사실은 아주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아직 이러한 사실을 많은 분들이 모르고 계십니다. 그래서 오늘은 미세먼지 뇌졸중 우리가 몰랐던 진실에 대해 소개할까 합니다. 


    미세먼지 뇌졸중 우리가 몰랐던 진실은?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방오영 교수와 분당서울대병원 신경과 배희준 교수 연구팀은 2011년 1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전국 12개 의료기관에서 뇌졸중 치료를 받은 1만3535명 (평균 나이67.8세, 남성 58.5%)을 분석 후 이러한 결과를 밝혔다고 하는데요. 연구팀은 이들 환자들이 병원을 내원하기 직전 일주일 동안 주거지 기준 대기오염 정도를 파악해 미세먼지와 뇌졸중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고 합니다. 



연구팀에 따르면, 대기오염 물질 가운데 미세먼지(10PM)와 이산화황(SO2)이 심장탓 뇌졸중과 직간접적 영향을 끼친다고 합니다. 이러한 미세먼지는 대기 중에서 10㎍/㎥이 증가할 때 마다 5%씩 이산화황의 농도는 10 ppb 상승할 때 마다 57%씩 각각 심장탓 뇌졸중의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 "심장탓 뇌졸중"이란 심방세동등의 심장 질환으로 생긴 혈전(피떡)이 뇌혈관을 막아 생기는것을 심장탓 뇌졸중이라고 합니다. 



특히, 미세먼지와 이산화황 농도가 다른 계절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겨울(24.3%)과 봄(23.7%)의 경우 다른 계절에 비해 심장탓 뇌졸중이 전체 뇌졸중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고 합니다. 이러한 결과가 나온 데 애해 연구팀은 미세먼지와 같은 대기오염 물질이 심박수나 부정액 등 심혈관계 전반에 걸쳐 유해요로 작용하기 때문이라고 풀이했습니다. 


※ 이 연구는 환자들의 나이와 성별, 고혈압, 당뇨, 흡연력 등 위험인자 등 개개인의 특성은 물론 뇌졸중 발병전 일주일간의 평균온도와 강우량 등 다른 환경적 요인 등을 모두 고려한 결과로 나온 분석입니다. 



이렇듯 미세먼지가 심한 날에는 주의해주셔야하는데요. "심장탓 뇌졸중"은 심한 후유장애가 남는 경우가 많다보니 뇌졸중을 예방하기 위해서 환경적인 요인에도 다시한번 관심을 기울여야 할것 같습니다. 또한, 심장질환이 있으신 분들에게는 꼭 필요한 정보이니 꼭 한번 읽어 보시면 좋겠습니다. 

오늘 미세먼지 뇌졸중 우리가 몰랐던 진실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도움이 많이 되셨나요?

다음에도 좋은정보로 찾아 뵙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