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ealth

안구건조증 초기증상과 예방법


    안구건조증 초기증상과 예방법!!




안구건조증 초기증상과 예방법 혹시 알고 계신가요? 안구건조증 초기증상은 날씨가 쌀쌀해질때부터 겨울철까지 많은 분들에게 나타나는데요. 아무래도 미세먼지의 영양이 가장 큰 원인이라고 하는데요. 안구건조증이 생기게 되면 예전처럼 나아지지 않아 더욱 조심해야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안구건조증 초기증상과 예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안구건조증이란?




눈물은 점액층, 수성층, 지방층으로 이루어져 잇씁니다. 가장 안쪽의 점액층은 수성층이 고르게 펴지게 하는 역할을 하고, 수성층은 눈물층의 대부분을 형성해 눈을 촉촉하게 유지하고 이물질을 눈으로부터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인 지방층은 수성층의 증발을 막는 역할을 합니다. 그런데 이러한 층들이 나이가 즐거나 또는 염증, 뇌상등의 손상이 생기게 되면 눈물 분비량이 감소하거나 또는 분비량이 많더라도 그 성분에 변화가 생기기 때문에 또 다른 증상을 일으킬 수 있는데요. 이러한 상태를 안구건조증이라고 합니다. 



    안구건조증 원인. 




안구건조증의 원인은 노화로 인해 눈물 분비량이 감소하거나 상태가 변했을 경우 생기거나, 류마티스성 관절염, 쇼그렌 증후군(입과 눈 등 몸 전체의 점막들의 염증이나 건조가 발생하는 류마티스 질환),당뇨병, 비타민A결핍증 등 질환이 있을 때 나타나기도 합니다. 그리고 만성결막염, 갑상선 질환, 여성호르몬 감소, 약물복용, 환경 요인 등이 있습니다. 이중에서 주 원인이 되는것은 환경 요인이 가장 크다고 합니다. 환경 요인은 주위 환경이 건조하거나, 연기, 먼지, 햇볕, 바람, 컴퓨터, 미세먼지 등눈이 자극되거나 무의식중 눈을 깜박이는 횟수가 줄어들면서 안구건조증이 많이 생기고 있습니다. 


    안구건조증 초기증상. 



안구건조증 초기증상으로 아래 4가지 항목 중 1가지라고 자주 느낀다면 의심해봐야 합니다. 


1. 자주 눈에 통증과 이물감이 계속 느끼는 경우. 


2. 시야가 뿌옇게 흐려지는 경우. 


3. 실내에서 눈이 뻑뻑해지고 제대로 뜨기 힘들때가 많을 경우. 


4. 빛에 민감하거나 또는 자주 눈충혈이 생기는 경우. 



만약 본인이 이중에 한가지라도 해당되는데 그냥 조금 있다보면 괜찮아져 방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안구건조증 초기에 나타나는 증상을 방치하게 되면 더 악화가 되고 무서운건 다시 예전처럼 좋아질 수 없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보니 안구건조증을 초기에 발견하고 또는 그전부터 예방하는 습관을 들이는게 좋습니다. 




    안구건조증 예방법. 




#1. 수분섭취 하기. 

수분섭취를 자주 하게되면 몸에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고, 몸속에 쌓이 노폐물을 배출하며, 온몸을 촉촉하게 수분공급을 해주기 때문에 안구 건조증 예방하는데 큰 도움을 줍니다. 



#2. 인공눈물 올바르게 사용. 

인공눈물 많이 이용하실텐데요. 인공눈물을 이용할 시 유통기한 확인후 이용을 해야하고, 이용할때에는 한 방울씩 점안해야합니다. 그리고 일회용 인공눈물을 개봉하게 되면 24시간 안에만 이용하시고 그 이후에는 꼭 버리셔야합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것은 인공눈물 용기가 눈에 닿지 않도록 조심해야합니다. 



#3. 환기 및 가습기 활용.

날씨가 많이 쌀쌀하고 추울수록 문을 닫고 난방하는 경우가 대다수 입니다. 하지만 이럴경우 난방으로 인해서 공기가 탁해지고 주변이 많이 건조하게 되어 안구건조증을 유발하게 되거나 기존에 안구건조증있는 분들은 더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춥더라도 실내 공기를 자주 환기 시켜주어야 하고 건조한 실내는 가습기를 이용해 주는 습관을 들이면 안구건조증 예방에 큰 도움이 됩니다. 

오늘 안구건조증 초기증상과 예방법 알아봤는데요. 도움이 되셨나요?

다음에도 좋은 정보로 찾아 뵙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