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시장인 코스피( KOSPI),코스닥(KOSDAQ) 등에서 주식 보조지표를 보고 많은 사람들이 투자를 합니다. 이 보조지표들은 기술적 분석을 기반으로 하고있고 국내외 주식시장에서 거의 동일하게 사용되고있습니다. 그렇다보니 그 해석에 대해 기본적으로 사용기준과 특성에 맞게 사용해야합니다. 그래서 현재 많이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보조지표 10가지에 대한 해석과 분석법에 대한 내용을 간단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보겠습니다.
이동평균선 (Moving Averages, MA)
이동평균선은 주식의 평균가격을 일정 기간동안 계산하고 주식의 추세를 파악하는 용도로 사용합니다. 주로 사용되고있는 이동평균선에는 단기, 중기, 장기 3가지가 있습니다. 3가지를 비교해보고 골든 크로스 또는 데드 크로스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핵심 정리
단기 이동평균선 (5일, 20일) : 시장의 단기적인 흐름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중기 이동평균선 (50일, 100일) : 시장의 중기적인 흐름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장기 이동평균선 (200일) : 시장의 장기적인 추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골든크로스: 단기선이 장기선을 위로 교차할 때 매수 신호를 알려주고 있습니다.
데드크로스: 단기선이 장기선을 아래로 교차할 때 매도 신호 를 알려주고 있습니다.
상대강도지수 (RSI, Relative Strength Index)
RSI는 현재 기업의 주식이 과매수 상태인지 과매도 상태인지를 측정하는 지표로 일반적으로 0~100사의 값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값에서 70이상은 과매수 상태를 나타내고 30이하는 과매도 상태라고 해석되고 있습니다.
● 핵심 정리
RSI가 70 이상 : 과매수 상태로 가격 상승의 피로를 의미하기때문에 이 경우엔 매도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RSI가 30 이하 : 과매도 상태로 가격 하락의 피로를 의미하기때문에 이 경우엔 매수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볼린저 밴드 (Bollinger Bands)
볼린저 밴드는 이동평균선을 중심으로 상한선과 하한선을 설정해 주식의 변동성을 측정하는 보조지표로 주식의 가격의 변동성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또한, 주식이 상한선 또는 하한선을 돌파할 때 매매 신호를 보내기도 합니다.
● 핵심 정리
가격이 상한선을 돌파 : 과매수 상태로 판단해 매도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가격이 하한선을 돌파 : 과매도 상태로 판단해 매수 신호 로 볼 수 있습니다.
MACD (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
MACD는 단기 이동평균선, 장기 이동평균선의 차이를 계산해 추세의 강도와 방향을 파악하는 보조 지표로 선형 차이를 사용하여 매수/매도 신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 핵심 정리
MACD 선이 시그널 선을 위로 교차할 때 : 매수 신호.
MACD 선이 시그널 선을 아래로 교차할 때 : 매도 신호.
스톡캐스틱 (Stochastic Oscillator)
스톡캐스틱은 주식의 현재 가격이 일정 기간 내에서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일반적으로 K와 D 두 가지 선으로 표시됩니다. K 선이 D 선을 위로 교차하면 매수 신호, 반대로 아래로 교차하면 매도 신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핵심 정리
K가 20 이하일 때: 과매도로 해석됩니다.는 과매도, 80 이상일 때는 과매수로 해석합니다.
K가 80 이상일 때: 과매수로 해석됩니다.
K선이 D선을 위로 교차할 때 : 매수 신호로 해석 됩니다.
K선이 D선을 아래로 교차할 때 : 매도 신호로 해석 됩니다.
엑스포넨셜 이동평균선 (EMA, Exponential Moving Average)
EMA는 이동평균선의 변형으로 최근 가격에 더 많은 가중치를 두고 계산되는 보조 지표 입니다. EMA 특징으로는 단기적인 시장 변화를 더 민감하게 반영합니다.
● 핵심 정리
EMA선이 상향 교차 : 매수 신호 입니다.
EMA선이 하향 교차 : 매도 신호 입니다.
거래량 (Volume)
거래량은 주식 거래 활발함을 나타내고 있는 보조 지표 입니다. 주식의 시세 변화를 추적하여 추세 반전에 대한 확인에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 핵심 정리
예를 들어 상승 추세에서 거래량이 급증하면 추세의 지속을 알리고 있으며, 하락 추세에서 거래량이 급증하면 추세 반전을 나타낼 수 있는 보조지표로 거래량이 급증하면 매수,매도 신호로 해석 할 수 있습니다.
피보나치 되돌림 (Fibonacci Retracement)
피보나치 되돌림은 주식 가격이 특정 가격대에서 되돌릴 가능성을 예측하는 데 사용되는 보조지표 입니다. 보통 피보나치 수열에 따라 23.6%, 38.2%, 50%, 61.8% 수준에서 주식 가격이 되돌릴 확률이 높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핵심 정리
주가가 되돌림 레벨에서 반등할 때 : 반등하는 그 지점이 지지선으로 볼 수 있습니다.
주가가 되돌림 레벨을 돌파할 때 : 곧 추세의 반전 의미로 볼 수 있습니다.
차이 이격도 (Divergence)
차이 이격도는 주식의 가격과 보조지표(RSI, MACD 등)가 반대로 움직일 때 발생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추세 반전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 핵심 정리
가격이 상승하지만 보조지표가 하락일때 : 주가 하락 추세가 올 가능성을 예측합니다.
가격이 하락하지만 보조지표가 상승할 때 : 상승 추세가 올 가능성을 예측합니다.
다이버전스 (Divergence)
다이버전스는 주식의 가격과 지표 간의 불일치를 나타내는 보조 지표입니다. 이 지표는 추세 반전을 예측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핵심 정리
양의 다이버전스 : 하락 추세에서 상승 반전 신호 입니다.
음의 다이버전스 : 상승 추세에서 하락 반전 신호 입니다.
주식 거래에 사용되고 있는 보조 지표들은 전 세계적 표준에 따르고 있고 이러한 기술적 분석 도구들마다 단기,중장기 추세, 과매도/과매수 상태, 추세전환을 식별하는데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있습니다. 단, 주식 보조지표 10가지 대한 해석과 분석법들은 시장 분석의 도구에 불과하기때문에 하나의 참고 사항으로 받아들이길 바라며 이러한 보조지표들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복합적으로 활용하는것이 가장 중요한것같습니다. 오늘도 행복하고 감사한 하루가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모의 투자 플랫폼의 100% 활용법 (0) | 2025.04.23 |
---|---|
주식투자 리스크 관리 및 투자심리의 요건 성공적인 투자자의 자세 (0) | 2025.04.22 |
주식 투자 지표 핵심 가이드 PER, PBR, ROE등 5가지 완벽 분석법 (0) | 2025.04.20 |
주식 차트 기본적 분석과 기술적 분석의 차이점과 접근 방법 (0) | 2025.04.13 |
주식 투자를 위한 재무제표 기본 이해 초보자 가이드 (0) | 2025.04.13 |